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관
- 진술거부권
- 수용재결
- 주주총회
- 지식재산권
- 토지보상법
- 재결신청
- 사진도용
- 손실보상
- 형사보상
- 형사소송팀
- 법인설립
- 사업시행자
- 사진저작권
- 저작권법
- 토지보상
- 초상권침해
- 임기만료
- 저작권침해
- 초상권
- 음주운전
- 상표등록
- 묵비권
- 임원변경
- 공익사업
- 변경등기
- 전과기록
- 법무법인고구려
- 토지수용위원회
- 형사보상청구
- Today
- Total
목록본점이전 (2)
법무법인고구려

안녕하세요, 법무법인 고구려 상업등기팀입니다. 법인설립 및 본점이전등기를 진행할 경우, 과밀억제권역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밀억제권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 과밀억제권역은 인구 및 산업이 집중되었거나 집중될 우려가 있어서 정비가 필요한 지역을 의미합니다. 앞서 언급했듯이 법인설립 및 본점이전시에 이 것을 확인해보아야 하는 이유는 과밀억제권역에서는 취등록세가 중과되기 때문입니다. 과밀억제권역에 속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 -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[별표 1] 위 열거된 과밀억제권역에서는 법인설립 시 등록세가 일반과세지역보다 3배 중과됩니다. 비중과지역에 법인을 설립할 경우 등록세는 자본금의 4/1000이 부과되는 반면, 중과지역의 경우 3배에 해당하는 자본금의 12/1000의 금액..

안녕하세요, 법무법인 고구려 상업등기팀입니다. 법인설립에 이어 법인의 본점이전등기에 관하여 살펴보겠습니다. ∥ 법인의 본점이전 법인을 설립할 때 본점의 주소를 정하고 반드시 등기해주어야 합니다. 본점의 주소는 법인을 해산할 때까지 변경이 불가능 한 것이 아니라 법인 운영 중에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등기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본점의 주소가 변경되었을 때는 꼭 그 변경의 등기를 진행하여야 하는데요, 만약 기간이 지난 후에도 등기를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등기해태에 따른 과태료가 부과되기 때문에 등기기간 안에 꼭 본점이전등기를 진행해주어야 합니다. ∥ 본점이전의 종류 본점이전에는 관내이전과 관외이전이 있습니다. 관내이전등기는 기존에 법인이 위치하고 있는 관할 내에서 새로운 주소로 이전하는 등기입니다. 반대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