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주주총회
- 초상권침해
- 정관
- 형사보상
- 토지수용위원회
- 임원변경
- 수용재결
- 상표등록
- 변경등기
- 손실보상
- 재결신청
- 형사보상청구
- 토지보상
- 묵비권
- 초상권
- 사업시행자
- 사진도용
- 임기만료
- 토지보상법
- 진술거부권
- 형사소송팀
- 사진저작권
- 공익사업
- 전과기록
- 저작권침해
- 법인설립
- 지식재산권
- 저작권법
- 음주운전
- 법무법인고구려
- Today
- Total
법무법인고구려
토지등의 보전 본문
안녕하세요, 법무법인 고구려 토지보상팀입니다.
오늘은 '토지등의 보전' 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.
토지보상법 제25조에서 토지등의 보전에 대하여 말해주고 있습니다.
먼저 법 조문부터 살펴보겠습니다.
토지보상법 제25조 1항은 '제3조 제2호 또는 제4호에 규정된 물건을 손괴하거나 수거하는 행위를 하지 못한다.' 라고 규정하고 있는데요.
제3조 제2호 및 제4호를 알아보겠습니다.
이렇게 위조항 각 호에 규정된 물건에 대한 손괴 또는 수거 행위를 제한하고 있습니다.
그래서 해당 구청, 시청에서는 이러한 행위제한을 따로 고시를 하고 있습니다.
행위제한 관련 고시문을 예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
제3조(적용대상) 사업시행자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토지, 물건 및 권리를 취득하거나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법을 적용한다.
2. 토지와 함께 공익사업을 위하여 필요한 입목, 건물, 그 밖에 토지에 정착된 물건 및 이에 관한 소유권 외의 권리
4. 토지에 속한 흙, 돍, 모래 또는 자갈에 관한 권리
이렇게 제한사유와 제한대상행위, 제한기간을 고시하고 있습니다.
제한행위를 어길 시에는 토지보상법 제25조 제3항에 따라 토지 및 건축물에 대하여 원상으로 회복해야 하며 이에 관한 손실의 보상은 청구할 수 없습니다.
하지만 고시가 되기 전에 미리 구청이나 시청에 허가를 받은 상황이라면 해당 구, 시청에 문의 해보는 것이 확실한 방법입니다.
이상으로 토지등의 보전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.
위와 같이 공익사업시행 시 권리의 보상을 제대로 받으려면, 전문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오니
주저하지 마시고 언제든지 문의주시기 바랍니다.
이상 법무법인 고구려 토지보상팀이었습니다.
감사합니다.
http://bosang119.net/index.php
법무법인 고구려 | 토지보상법률센터
bosang119.net
'토지수용·보상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축물등 물건에 대한 보상 (0) | 2019.12.12 |
---|---|
토지보상법 - 사용하는 토지의 보상 (0) | 2019.12.09 |
사업인정 실효의 요건 및 효과에 관하여 (0) | 2019.12.05 |
사업시행이익과 상계금지의 원칙에 관하여 (0) | 2019.12.05 |
토지보상법, 위험부담 - 위험부담에 관하여 (0) | 2019.12.04 |